공급망 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실용적·전략적 통상교섭 추진
정책개요
- (메가 경제블록 참여) 포괄적·점진적 환태평양 동반자협정(CPTPP), 인도·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(IPEF) 등 역내 주요 경제블록에 참여하여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고, 다자간 공조 기반을 강화하여 우호적 통상환경 조성
- (CPTPP) 아태지역 통상질서 논의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, 충분한 사회적 논의를 지속하며 CPTPP 가입 추진
- (IPEF) 공급망·디지털 등 신통상규범 정립에 대응하여 IPEF 논의에 주도적 참여
- (FTA 네트워크 다변화·고도화) 성장잠재력이 높은 신흥시장과의 FTA 추진, 기체결 FTA 고도화를 통해 교역·투자 다변화 및 기업 진출여건 개선
- (신규 FTA) 10대 경제대국과의 FTA*를 완성한 노하우를 바탕으로, 우리나라 교역량 30위권 내 국가 중 현재까지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**와 FTA 추진(멕시코, GCC***, MERCOSUR**** 등)
* GDP 순위(IMF, ’21):미국‧중국‧일본‧독일‧영국‧인도‧프랑스‧이탈리아‧캐나다‧한국
** 사우디(교역액 276억불), 멕시코(192), 카타르(120), UAE(113), 브라질(113), 쿠웨이트(86) (무역협회, ’21)
*** 걸프협력회의:사우디, 카타르, UAE, 쿠웨이트, 오만, 바레인 6개국 지역협력기구
**** 메르코수르:브라질, 아르헨티나, 우루과이, 파라과이 4개국 간 관세동맹
- (기체결 FTA) 기체결 FTA 중 시장접근 개선, 규범 업그레이드 및 경제협력 강화가 필요한 국가와 FTA 고도화 추진(영국, 인도 등)
- (신규 FTA) 10대 경제대국과의 FTA*를 완성한 노하우를 바탕으로, 우리나라 교역량 30위권 내 국가 중 현재까지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**와 FTA 추진(멕시코, GCC***, MERCOSUR**** 등)
- (신통상이슈 전략적 대응) FTA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주요국과의 디지털, 환경 및 기후변화, 공급망 등 신통상이슈 협력 확대
- (디지털) 기존 FTA 업그레이드 및 신규 FTA 협상을 토대로 디지털경제에 대한 우리 기업경쟁력 제고
- (환경·기후변화) 환경친화적 FTA 추진방안을 모색하면서, 환경규범이 과도한 무역장벽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협의 추진
- (공급망) FTA 이행·협상 계기 핵심광물, 원자재 주요 공급국가를 중심으로 공급망 연대·협력 강화 및 역내 공급망 구축방안 논의
- (우리 기업의 FTA 활용 제고) FTA 협상-체결-이행-개선 등 전 주기에서의 기업수요 반영 및 애로 해소 → FTA 활용 제고 촉진
- (협상) 협상 개시 전후 업계의 세부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고 협상 방향 수립 및 진행
- (체결) FTA 체결 및 발효 전후 대국민 설명회, 관계법령 정비, 협정문 기반 회원국간 민관 공동사업 발굴 등 추진
- (이행) FTA 이행위원회의 안정적 운영, 전주기 FTA 통합 플랫폼 활용을 통해 기업의 애로 해소와 FTA 활용 촉진
- (개선) FTA 통합 플랫폼 등을 통해 FTA 개선 수요를 적극 발굴하고, 개선협상시 신통상이슈 협력 강화 노력
구분 | 상대국 | 추진현황 | 의의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개시 | 타결 | 서명 | 비준 | 발효 | |||
발효 (59개국 21건) |
칠레 | 1999.12 | 2002.10 | 2003.02 | 2004.02 | 2004.04 | 최초의 FTA 중남미 시장 교두보 |
싱가포르 | 2004.01 | 2004.11 | 2005.08 | 2005.12 | 2006.03 | ASEAN 시장 교두보 | |
EFTA(1) | 2005.01 | 2005.07 | 2005.12 | 2006.06 | 2006.09 | 유럽시장 교두보 | |
ASEAN(2) | 2005.02 | 2006.04 | 2006.08 (상품무역협정) |
2007.04 | 2007.06 (상품무역협정) |
거대경제권과 체결한 최초의 FTA | |
2007.06 | 2007.11 (서비스무역협정) |
2009.05 | 2009.05 (서비스무역협정) |
||||
2007.11 | 2009.06 (투자협정) |
- | 2009.09 (투자협정) |
||||
인도 | 2006.03 | 2008.09 | 2009.08 | 2009.11 | 2010.01 | BRICs국가, 거대시장 | |
EU(3) | 2007.05 | 2009.07 | 2010.10.06. | 2011.05 |
2011.07.01. (잠정) 2015.12.13. (전체) *2011.07.01. 이래 만 4년5개월 간 잠정적용 |
거대 선진경제권 | |
페루 | 2009.03 | 2010.08 | 2011.03.21. | 2011.06 | 2011.08.01. | 자원부국 중남미 진출 교두보 |
|
미국 | 2006.06 | 2007.04 | 2007.06 | 2011.11 | 2012.03.15. | 세계 최대경제권(GDP기준) | |
2018.01 (개정협상) |
2010.12 | 2018.09.24. (개정협상) |
2018.12 | 2019.01.01. (개정의정서) |
|||
터키 | 2010.04 | - | 2012.08.01. (기본협정·상품무역협정) |
2012.11 | 2013.05.01. (기본협정·상품무역협정) |
유럽·중앙아 진출 교두보 | |
2014.07 | 2015.02.26. (서비스·투자협정) |
2015.11 | 2018.08.01. (서비스·투자협정) |
||||
호주 | 2009.05 | 2013.12 | 2014.04.08. | 2014.12 | 2014.12.12. | 자원부국, 오세아니아 주요시장 | |
캐나다 | 2005.07 | 2014.03 | 2014.09.22. | 2014.12 | 2015.01.01. | 북미 선진시장 | |
중국 | 2012.05 | 2014.11 | 2015.06.01. | 2014.12.20. | 우리의 제1위 교역대상국(’22년 기준) | ||
뉴질랜드 | 2009.06 | 2014.11 | 2015.03.23. | 2015.11 | 2015.12.20. | 오세아니아 주요시장 | |
베트남 | 2012.08 | 2014.12 | 2015.05.05. | 2015.11 | 2015.12.20. | 우리의 제4위 투자대상국(’22년 기준) | |
콜롬비아 | 2009.12 | 2012.06 | 2013.02.21. | 2014.04 | 2016.07.15. | 자원부국, 중남미 신흥시장 | |
중미5개국(4) | 2015.06 | 2016.11 | 2018.02.21. | 2019.08 | 2021.03.01. 전체 발효 |
중미 신시장 창출 | |
영국 | 2017.02 | 2019.06 | 2019.08.22. | 2019.10 | 2021.01.01. | 브렉시트 이후 한영 통상관계 지속 | |
RCEP(5) | 2012.11.20 | 2019.11 | 2020.11.15 | 2021.12 | 2022.02.01 | 동아시아 경제통합 기여 | |
이스라엘 | 2016.05 | 2019.08 | 2021.05.12. | 2022.09 | 2022.12.01 | 창업국가 성장모델 | |
캄보디아 | 2020.07 | 2021.02 | 2021.05.12 | 2022.09 | 2022.12.01 | 동남아 시장 진출확대 기여 | |
인도네시아 | 2012.03.28 | 2019.10 | 2020.12.18 | 2021.06 | 2023.01.01 | 동남아 시장 진출확대 기여 |
(1) EFTA(유럽자유무역연합)(4개국) :스위스, 노르웨이, 아이슬란드, 리히텐슈타인
(2) ASEAN(10개국) :브루나이, 캄보디아, 인도네시아, 라오스, 말레이시아, 미얀마, 필리핀, 싱가포르, 베트남, 태국
(3) EU(27개국) :오스트리아, 벨기에, 체코, 키프로스, 덴마크, 에스토니아, 핀란드, 프랑스, 독일, 그리스, 헝가리, 아일랜드, 이탈리아, 라트비아, 리투아니아, 룩셈부르크, 몰타, 네덜란드, 폴란드, 포르투갈, 슬로바키아, 슬로베니아, 스페인, 스웨덴, 불가리아, 루마니아, 크로아티아
(4) 중미(5개국) :파나마, 코스타리카, 온두라스, 엘살바도르, 니카라과
(5) RCEP(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)(15개국) :한국, 아세안10개국, 중국, 일본, 호주, 뉴질랜드
구분 | 상대국 | 추진현황 | 의의 |
---|---|---|---|
서명 | 필리핀 |
2019.06 협상개시 2019.06~2020.01 5차례 공식협상 개최 2021.10.26. 협상타결 선언 2023년 하반기 정식서명 추진 |
동남아 시장 진출확대 기여 |
협상 진행 |
GCC(6) |
2007~2023.02 7차례 협상 개최 2021.01 협상재개 합의 2022.03~2023.02 4차~7차 협상 개최 |
자원부국, 중동 시장 진출 교두보 |
에콰도르 |
2015.08 협상개시 선언 2016.01~2016.11 5차례 공식협상 개최 2022.03 협상재개 선언 2022.07~2023.04 6차~9차 협상 개최 |
자원부국, 중남미 시장 진출 교두보 | |
우즈베키스탄 |
2021.01 협상개시선언 2021.04~2021.11 2차례 공식협상 개최 |
중앙아 최대시장 | |
과테말라의 한-중미 FTA 가입협상 |
2021.10 협의개시 2021.11~2023.04. 4차례 수석대표 회의 개최 |
중미 최대 교역파트너,북-남미 진출 교두보 | |
MERCOSUR(7) |
2018.05 협상개시 선언 2018.09~2021.08 7차례 공식협상 개최 |
남미 최대 시장 | |
러시아 |
2019.06 한-러시아 서비스·투자 FTA 협상개시 선언 2019.06~2020.06 5차례 공식협상 개최 |
유라시아 진출 교두보 | |
한중일 |
2012.11.20. 협상개시선언 2013.03~2019.11 16차례 공식협상 개최 |
동북아 경제통합 기반 마련 | |
말레이시아 |
2019.06 협상개시 선언 2019.07~2019.09 3차례 공식협상 개최 |
동남아 시장 진출확대 기여 | |
한-아세안 추가 자유화 | 2010.10~2022.07 19차례 이행위원회 개최 | 교역 확대, 통상환경 변화 반영 | |
한-인도 CEPA 업그레이드 | 2016.10~2022.11 9차례 개선협상 개최 | 주력 수출품목 양허·원산지기준 개선 | |
한-칠레 FTA 업그레이드 | 2018.11~2023.5 7차례 개선협상 개최 | 통상환경 변화 반영 | |
한-중 FTA 서비스·투자 후속협상 | 2018.03~2020.10 9차례 서비스·투자 후속협상 개최 | 우리의 제1위 서비스수출국 | |
재개, 개시, 여건 조성 |
몽골 | 2023.3 공청회 개최 | 아시아 내 대표 자원부국 |
조지아 | 2023.3 공청회 개최 | 코카서스 지역 유망국 | |
멕시코 |
2005.09 한-멕 SECA 추진합의 2006.02~2008.06 SECA 3차례, FTA 2차례 협상후 중단 2022.03 협상재개 선언 |
중남미 주요 교역파트너 | |
영국 |
2022.02 한-영 FTA 무역위 계기 개선협상 개시 추진 합의 2022.10 공청회 개최 |
유럽지역 교두보 확보 | |
이집트 | 2022.01 공동연구 MoU 서명 | 북아프리카 주요 교역국 | |
PA(8) |
2018.05 국회보고 2020.12 PA 준회원국 가입 ToR 합의 2022.01 연내 협상개시 합의 |
중남미 신흥 시장 |
(6) GCC(걸프협력회의)(6개국) :사우디아라비아, 카타르, 쿠웨이트, 바레인, 오만, 아랍에미리트
(7) MERCOSUR(남미공동시장)(4개국) :아르헨티나, 브라질, 파라과이, 우루과이
(8) PA(태평양동맹)(4개국) :콜롬비아, 멕시코, 페루, 칠레
- 담당부서FTA정책기획과
- 담당자김태현 서기관
- 연락처044-203-5741